■ 진행 : 김대근 앵커, 안보라 앵커 <br />■ 출연 : 장석환 / 대진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라이더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태풍 '힌남노'가 지나면서 전국 곳곳에서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. 태풍에 대한 대비책, 어떻게 세워야할지 대진대 건설환경공학부 장석환 교수와 살펴봅니다. 교수님, 어서 오십시오. 이번에는 대비책을 어떻게 마련해야 되나 이 부분을 얘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일단 태풍이 오면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위기경보를 관심에서 심각으로 두 단계 올렸다, 이런 보도가 앞서 있었거든요. 그리고 비상근무 3단계를 발령했다, 이렇게 근무 강도를 높이면서 재난에 대비를 한 그런 상황인데 이 정도면 어느 정도의 수준이다 이렇게 볼 수 있는 건가요? <br /> <br />[장석환] <br />지금 보통 관심, 주의, 심각 단계로 이렇게 되어 있는데 이번에 두 단계를 한꺼번에 올렸거든요. 그러니까 굉장히 이례적이에요. 그만큼 이번에 힌남노의 영향에 대한 부분을 정부에서도 심각하게 받아들였다, 이렇게 볼 수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과거의 사례 같은 경우에 보면 이렇게 두 단계를 한꺼번에 올린 경우는 거의 없었고요. <br />이런 부분들에 대해서 정부의 대응도 상당히 빠르게 대처가 됐다, 이렇게 볼 수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보통 태풍을 풍속으로 봤을 때는 강, 매우 강 이렇게 보는데 초속 43m 그 정도가 시속으로 따지면 한 155km 정도 되는데 그때까지는 강으로 보고 그 이상이 되면 매우 강으로 보는데 지금 매우 강, 그러니까 초속 한 45m 정도까지 나왔기 때문에 매우 강한 태풍에서부터 또 태풍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 중에 중심기압을 가지고 나타내는 방법이 있는데 920~950헥토파스칼 정도를 대형이라고 하고 그 이상이 되면 그 아래로, 즉 기압이라고 하는 것은 보통 기압이 1기압이라고 하는 게 1013헥토파스칼인데 그보다 훨씬 낮은 것. <br /> <br />그러니까 기압차가 크면 클수록 우리가 태풍을 열대성 저기압이라고 하는, 크면 클수록 강풍도 세고 많은 태풍의 반경도 커지는데 950헥토파스칼까지를 우리가 대형 태풍이라고 하고 920헥토파스칼, 완전 초대형이라고 보는데 그 정도 되면 950헥토파스칼이 넘으면 중형급이라고 보는데 지금 대형급과 중형급을 왔다 갔다 하는 정도의 이번에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906090225162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